BC 주 주정부 이민의 전망
많은 사람들이 2016년 12월 21일에 마지막으로 발표된 비씨주의 주정부 이민 발표를 기다리고 있다. 현재 40일이 넘도록 선발을 안하고 있기 때문이다. 2016년 6월부터 한달에 세차례이상 빠지지 않고 주정부 승인초청을 하던 비씨주 였기 때문에 신청자들은 걱정과 기대를 동시에 가지고 있다.
아래는 2016년도 9월이후의 선발 점수들이다.
Date | Stream / Category | Minimum Score |
Number of Invitations |
---|---|---|---|
December 21, 2016
|
EEBC – Skilled Worker | 100 | 39 |
EEBC – International Graduate | 80 | 68 | |
SI – Skilled Worker | 100 | 33 | |
SI – International Graduate | 80 | 94 | |
SI – Entry Level and Semi-Skilled | 65 | 29 | |
December 21, 2016 | Entrepreneur Immigration | 140 | 13 |
December 8, 2016 | EEBC – Skilled Worker | 90 | 109 |
EEBC – International Graduate | 80 | 101 | |
SI – Skilled Worker | 90 | 109 | |
SI – International Graduate | 80 | 135 | |
SI – Entry Level and Semi-Skilled | 60 | 46 | |
November 17, 2016
|
EEBC – Skilled Worker | 80 | 74 |
EEBC – International Graduate | 70 | 49 | |
SI – Skilled Worker | 80 | 65 | |
SI – International Graduate | 70 | 96 | |
SI – Entry Level and Semi-Skilled | 50 | 26 | |
November 10, 2016 |
EEBC – Skilled Worker | 80 | 39 |
EEBC – International Graduate | 70 | 49 | |
SI – Skilled Worker | 80 | 44 | |
SI – International Graduate | 70 | 66 | |
SI – Entry Level and Semi-Skilled | 50 | 19 | |
November 3, 2016 |
EEBC – Skilled Worker | 80 | 33 |
EEBC – International Graduate | 70 | 99 | |
SI – Skilled Worker | 80 | 15 | |
SI – International Graduate | 70 | 53 | |
SI – Entry Level and Semi-Skilled | 50 | 16 | |
October 28, 2016 | Entrepreneur Immigration | 132 | 11 |
October 28, 2016 |
EEBC – Skilled Worker | 80 | 103 |
EEBC – International Graduate | 80 | 116 | |
SI – Skilled Worker | 80 | 87 | |
SI – International Graduate | 70 | 223 | |
SI – Entry Level and Semi-Skilled | 45 | 68 | |
October 12, 2016 |
EEBC – Skilled Worker | 80 | 175 |
EEBC – International Graduate | 80 | 150 | |
SI – Skilled Worker | 80 | 147 | |
SI – International Graduate | 80 | 205 | |
SI – Entry Level and Semi-Skilled | 50 | 128 | |
September 27, 2016 | Entrepreneur Immigration | 133 | 10 |
아래 점수는 주정부의 보장점수이다. 보장점수는 최근 선발점수보다 훨씬 낮다. 그만큼 신청자들이 성공적으로 주정부 승인을 받기가 쉬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Category | Guaranteed Registration Score |
---|---|
Skills Immigration – Skilled Worker | 135 |
Skills Immigration – International Graduate | 105 |
Skills Immigration – Entry Level and Semi-Skilled (includes Northeast) |
95 |
Express Entry BC – Skilled Worker | 135 |
Express Entry BC – International Graduate | 105 |
왜 선발이 늦어지는가?
작년 이민법 개정으로 인해서 LMIA와 고용주 잡오퍼에 대한 추가 점수가 600점에서 200점 혹은 50점으로 현저하게 낮아졌다. 그로인해 캐나다 이민 신청자들은 여전히 추가점수 600점을 획득할 수 있는 주정부 이민으로 몰리는 현상이 강했다. 아직 주정부 발표는 없지만 신청자들은 엄청나게 많은 수의 신청자들이 BC주로 몰려들었다고 판단하고 있다. 또한 매년 1월은 주정부 승인 숫자를 연방정부로부터 부여 받는 달이다. 2016년과 비교하면 3월 중순까지 기다려야 할 수도 있다는 전망이다.
주정부 이민을 공략하려면,
주정부들은 자기들이 필요한 인력수급을 주정부 이민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로 생각하고 있다. 이 얘긴 매년, 혹은 매달 이민조건이나 요건등이 바뀔수 있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방정부 이민 카테고리 보다는 주정부 이민이 정보에 훨씬 민감해야 한다. 급변하는 제도와 이민조건에서 남들보다 빨리 캐치하고 신청에 들어가야 캐나다 이민을 성공적으로 공략할 수 있다.
주정부 이민을 고민할 때,
반드시 그 주에서 살고싶은 의지가 있는지를 자기 자신에게 물어봐야 한다. 기후조건이나 자신의 희망직업을 갖기 어려운 곳에서 캐나다 이민을 성공하기는 힘들다. 이민이 되었다고 해도, 시간과 돈을 허비하고 실패한 이민이 되기 싶다. 자기 자신이 살기를 희망하지 않는 주라면 이민이 조금더 쉽더라도 과감히 이민을 포기하는 편이 현명한 길이다.
더많은 정보를 원한다면 드림컨설팅 블로그를 구독하세요.